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사회 정의와 사회 윤리 1 : 니부어
    2025 수능 대비 개념 정리/생활과 윤리 2024. 1. 4. 15:40
    728x90
    반응형
    SMALL

    <사회 정의와 사회 윤리 1>

     

    1. 개인 윤리 & 사회 윤리


    개인 윤리 사회 윤리
    중점

    도덕 문제
    발생 원인


    문제 해결 · 자율적·합리적 해법
    - 개인의 도덕성, 양심, 선의지
    - 합리적 설득, 이성적 방법
    ==> 인식·의식의 변화
    ex. 공익광고, 캠페인 등
    · 제도적·구조적 해법
    ==> 정치적·법률적 해법

     

     

    2. 니부어. R : 도덕적 개인과 비도덕적 사회


    개인 집단(사회)
    도덕적 이상 이타심

    정의
    ==> 양자 사이의 모순 지속
    but, 절대적 × (조화 가능)
    이기적 충동 타인의 시선, 책임감
    ==> 이기적 충동
    타인의 시선에서 비교적 자유로움
    ==> 이기적 충동
    도덕성 도덕적 개인 집단 이익을 위해 비도덕적 행동을 하기 쉬움
    부정의·갈등의
    원인
    개인의 도덕성 · 집단들 간 세력 불균형(힘의 차이)
    · 집단 지성의 불완전성
    해결 방안 개인의 도덕성 함양 · 사회구조·제도·정책 개선
    · 정치적·사회적·외부적 강제력

     

    728x90

    (1) 기본 입장 : 사회 집단의 도덕성 < 개인의 도덕성

    사회는 개인의 단순한 합 ×

    개인의 도덕성과 사회의 도덕성은 비례 ×

    개인적으로 도덕적인 사람도 소속된 집단의 이익을 위해 비도덕적으로 행동하기 쉬움

    (집단 간 관계는 항상 윤리적이기보다는 지극히 정치적)

    = 개인의 이기심은 집단 속에서 강화

    = 개인의 도덕성은 집단 속에서 약화

    = 집단의 크기가 커질수록 이기심도 커짐

    사회 갈등·부정의의 원인

    - 소속된 집단에 대한 맹목적 충성 현상

    - 소속된 집단에서 개인에게 가해지는 과도한 강제력

    - 집단 간의 힘의 차이, 세력 불균형 ==> 집단 이기주의(NIMBY, PIMFY 현상)

    집단 속 개인의 선의지는 조국에 대한 충성이라는 여과를 거쳐 국가 이기주의의 확대하는 경향까지 생겨나게 함

    ==> 애국심은 개인의 이타심을 국가 이기주의로 전환시킨다!

    반응형

    (2) 해결책 : 개인 윤리와 사회 윤리의 조화 (개인 윤리 < 사회 윤리)

    ==> 개인 간 갈등은 합리적 설득으로 해결 가능. but, 집단 간 갈등은 어려움

    선의지의 통제를 받는 비합리적 수단이 필요!

    = 합리적인 = 일반적 사람들의 승인 = 강제력

     

    올바른 정치적 도덕성은 합리적인 사회강제력을 권고!

    - 사회강제력의 배제가 아닌 최소화 지향(없애기보단 최소화!)

    - 강제력이 사용되는 목적목표의 차이를 밝혀줌

    정의 실현을 위해 어쩔 수 없이 도덕성이 높은 개인들이 반대하는 방법도 승인 가능

    (이기심, 반항, 원한 등 사용 가능)

    집단 간 힘의 불균형 해소(세력 균형 회복)

    ==> 집단 간 평등, 사회 정의는 투쟁에 의해 실현 가능

    개인 윤리의 도덕적 이상인 이타심이 올바르게 발휘되기 위해서는 사회의 도덕성이 건전 하고 사회 정의가 어느 정도 실현되어야 함

    (극도로 비도덕하고 부정의한 사회에서는 개인의 이타심조차 집단 이기주의의 도구로 사용

    ==> 국가에 대한 이타심 애국주의 파시즘)

     

    cf 1. 개인의 도덕적 선의지 함양은 사회 정의 실현의 (   ) 조건!

    cf 2. 개인들이 각자의 직분에 충실하면 사회는 정의로워짐? ( )

    cf 3. 힘을 바탕으로 정의를 실현하는 것을 부정한다. ( )

    cf 4. 사회 정의는 사회적 억제와 힘을 통해 실현되어서는 안 된다. ( )

    cf 5. 집단 간 대립 상황에서도 개인은 비이기적 태도를 취할 수 있다. ( )

     

    ★★ 기본 개념 및 선지 분석

     

    [1~3] 빈칸에 알맞은 말을 써넣으시오.

     

    1. 니부어는 개인이 도덕적일지라도 그가 속한 (        )/는 비도덕적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2. 니부어는 집단 속에서 (          )적으로 되어가는 인간의 성향과 힘의 불균등한 분배로 말미암아 부정의가 지속된다고 보았다.

    3. 니부어는 집단의 비도덕성, 갈등을 극복하기 위해 도덕성의 통제를 받는 (              )/가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SMALL

    [4~13] OX TEST

     

    4. 니부어는 정의 실현을 목적으로 한 강제력은 도덕적으로 정당화될 수 있다고 본다. ( )

    5. 니부어는 집단에 대한 개인의 헌신을 일종의 이기주의의 표현으로 간주한다. ( )

    6. 니부어가 보기에 개인의 이기적 충동들은 집단 속에서 약화된 형태로 나타난다. ( )

    7. 니부어가 보기에 집단이 커질수록 도덕적 목적 실현이 수월해진다. ( )

    8. 니부어가 보기에 집단 간 세력 불균형은 사회 갈등과 부정의를 지속시킨다. ( )

    9. 니부어는 선의지의 통제를 받는 비합리적 수단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 )

    10. 니부어가 보기에 개인 윤리적 이타성과 사회 윤리적 정의는 항상 상호 배타적이다. ( )

    11. 니부어는 집단의 도덕성이 개개인의 도덕성의 총합이라고 본다. ( )

    12. 니부어는 개인의 도덕성을 발휘하는 것만으로 사회 정의를 실현할 수 있다고 보았다. ( )

    13. 니부어는 사회 집단 간의 관계가 윤리적이라기보다 정치적이라고 보았다. ( )

     

     

    728x90
    반응형
    LIST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