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윤리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 1 : 동양
    2025 수능 대비 개념 정리/생활과 윤리 2023. 12. 11. 11:20
    728x90
    반응형
    SMALL

    윤리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 1 : 동양

     

    <윤리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 1 : 동양>

     

    유교

     

    1. 공자

    (1) ()

    선천적·내면적 도덕성

    타인에 대한 사랑(배려)

    별애 : 친소 구별. but, 점진적 확대

    시작 : &

    () : 온 정성을 다함

    () = 추기급인(역지사지)

    - 내가 하기 싫은 일은 남에게 시키지 마라

    - 내가 서고자 하면 다른 사람 먼저 세워줘라

    (2) ()

    외면적 규범

    극기복례 : 사욕을 극복하고 예를 회복

    예가 아니면 보지도 듣지도 말하지도 말라

    (3) 정치 및 사회사상

    정치 : 도덕·예의로써 교화

    정명 사상

    - 각자 자신의 역할에 충실

    - 군군 신신 부부 자자

    수기안인 : 자신의 인격 완성 후 다른 사람은 편안히 해 줌

    군자는 바람, 소인은 풀 / 군자는 북극성, 소인은 뭇별

    분배의 형평성 강조 : 재화의 많고 적음보다 고르지 못함을 걱정

    (4) 이상 사회 : 대동 사회

    큰 도가 행해짐 : 도덕 실현

    현자 존중 : 현명하고 능력 있는 인재 등용

    사회적 약자 보호 : 기본적 삶 보장

     

    2. 맹자

    (1) 본성론 : 성선설

    근거

    - 사덕 : 인의예지

    - 사단 : 측은지심, 수오지심, 사양지심, 시비지심

    - 양지 : 선천적 도덕 자각 능력

    - 양능 : 선천적 도덕 실천 능력

    수양

    - : 공자 계승

    - : 사회 정의

    ==> 집의 : ‘반복적 실천

    호연지기 : 지극히 크고 굳센 기운

    대장부, 대인

    (2) 정치사상

    왕도 정치 ( 패도 정치)

    - 불인인지심 : 차마 어쩌지 못하는 마음

    - 항산(생업) 보장


    항산(생업) 항심(도덕적 마음)
    백성 × ×
    선비 ×

     

    역성혁명(민본주의의 바탕) 인정 : 폭군 교체 정당화

     

     

    불교 (해탈 & 열반 : 고통으로부터의 해방 ==> 보살)

     

    1. 평등적 세계관

    모든 존재는 청정무구한 불성을 타고남 (형성×)

    누구나 깨달음을 얻어 부처가 될 수 있음

     

    2. 연기적 세계관

    (1) 인연생기설

    세상의 모든 것은 원인조건에 따라 나타나고 사라짐

    만물의 상호의존성, 변화 ==> 자비(사랑)

    고정적×, 불변×, 독립적×

    (2) 사성제

    고제 : 현상적 삶(생로병사의 고통)

    집제 : 고통의 원인(무명, 애욕)

    멸제 : 고통의 소멸(해탈, 열반)

    도제 : 해탈의 방법(팔정도, 육바라 밀)

     

    3. 고통

    (1) 고통의 원인

    삼독 : , ,

    무명, 애욕

    (2) 고통의 반복

    윤회 by : 삶과 죽음이 반복

    윤회의 극복 ==> 해탈, 열반

     

    4. 수양

    (1) 삼학

    (계율) : , , 마음으로 나쁜 짓 ×

    (선정) : 마음 집중

    (지혜) : 사물에 대한 통찰

    (2) 중도 : 양 극단에 치우치지 않은 상태

    ex. 팔정도

     

    5. 이상 사회 : (번뇌와 고통이 사라진 평화로운 이상 세계)

     

    728x90

    도가 (노자, 장자)

     

    1. 도

    만물의 생성 및 변화 원리 ==> 도는 천하의 어머니

    무위(인위×) = 자연

    ==> 소박, 순박, 무지, 무욕

    상선약수 : 최상의 선은 물과 같다 ==> 겸허, 부쟁

     

    2. 도와 일치

    자연적 본성에 따르는 삶 = 자연의 이치

    소박, 순박

    구별, 차별 부정 : 시비, 선악, 미추, 생사 구별 부정

     

    3. 인위

    규범, 제도 등 인간의 지혜

    구별, 차별 발생

    자연적 본성 상실

     

    4. 수양 : 도는 텅빈 곳에 모인다 (비워서 깨끗이 해라)

    허정 : 마음 비우고 고요히 하라

    허심 : 사사로운 마음을 정화

    좌망 : 조용히 앉아, 우리 구속하는 모든 것을 잊어라

    심재 : 마음 비워서 깨끗이 잊어라

     

    5. 이상적 삶

    제물 : 만물의 가치는 평등

    소요(소요유)

    - 정신적 자유

    - 외물에 얽매이지 않는 것

    ==> 지인, 진인, 신인, 천인

     

    6. 이상 사회 : 소국과민

    나라가 작고 백성은 적은 상태

    소박, 순박

    무위지치

    반응형

     

     


    유교 불교 도가
    자연관
    (하늘)
    도덕적 삶의 기준
    천인합일
    인연생기자타불이자비 , 무위자연
    인간관 공자 : ,
    맹자 : 성선설
    순자 : 성선설
    오온의 일시적 결합
    , ,
    불성 타고남
    순성
    수양론 ,
    ,
    수기안인

    극기복례
    ,


    팔정도
    육바라밀
    삼학
    죄망
    심재
    물아일체
    지혜 시비, 선악 구별·분별
    존비친소 분별
    고정불변 ×
    자비
    분별적·차별적 사고 초월
    이상적
    인간상
    (성인)
    성인, 군자
    대장부, 대인 (vs 소인)
    해탈, 열반
    ==> 성인, 보살
    성인, 지인, 진인, 신인, 천인 등

     

    ★★ 기본 개념 및 선지 분석

    [1~18] 빈칸에 알맞은 말을 써넣으시오.

    1. 유교 윤리는 (    )/(    )/를 강조하면서 인격 수양과 도덕 실천을 강조한다.

    2. 유교 윤리는 효제, 충서, 오륜 등을 통해 (    )/를 실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3. 유교 윤리에서 (     )()란 각자 자기 역할에 맞는 덕을 실현해야 한다는 뜻이다.

    4. 유교 윤리에서 (             )()란 이익을 보면 의를 먼저 생각해야 한다는 것을 말한다.

    5. 유교의 이상 사회는 (                ) (), 모든 사람이 더불어 잘 사는 도덕적인 사회이다.

    6. 유교의 이상적 인간상은 (      )(), 인격을 완성하기 위해 끊임없이 수양하고 사회적 책무를 수행하는 인간이다.

    7. 불교 윤리는 모든 존재와 현상에는 일정한 원인과 조건이 있다는 (          ) 세계관을 이야기한다.

    8. 불교 윤리는 (          )의 법칙을 깨닫게 되면 모든 것에 대하여 (          )의 마음이 저절로 생긴다고 본다.

    9. 불교 윤리는 살아 있는 모든 존재에게는 (           )/가 있으므로 모든 생명이 평등하다고 주장한다.

    10. 불교의 이상 사회는 (              )(), 누구나 성불하여 지혜와 자비를 완전히 실현하는 사회이다.

    11. 불교의 이상적 인간상은 (        )(), 위로는 깨달음을 구하고, 아래로는 중생을 구제하여 자비를 실천하는 인간이다.

    12. 불교 용어에서 (            )/는 번뇌의 얽매임에서 풀리고 미혹의 괴로움에서 벗어난 경지이다.

    13. 도가 윤리의 핵심은 자연의 순리에 따르는 (             )의 삶을 강조한다는 것이다.

    14. 도가에서 말하는 도는 (           )적으로 강제하지 않고 자연스러움을 따르는 특성이 있다.

    15. 도가의 이상 사회는 (            ) 사회로, 무위의 다스림이 이루어지는 영토가 작고 인구가 적은 나라이다.

    16. 도가의 이상적 인간상은 (       ), (       ), 신인, 천인으로 모든 차별이 소멸된 정신적 자유의 경지에 오른 인간이다.

    17. 도가 용어에서 (         )/는 도의 관점에서 만물을 평등하게 바라본다는 의미이다.

    18. 도가 용어에서 (         )은 조용히 앉아서 자신을 구속하는 일체의 것을 잊어버리는 것을 말한다.

    SMALL

    [19~34] OX TEST

    19. 도가는 예법에 집착하지 말고 자연의 흐름에 따라 살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 )

    20. 유교에 따르면, 연기의 법칙을 깨달아 자비의 정신을 실천해야 한다. ( )

    21. 유교는 사회적 지위에 따른 예의와 규범을 중시한다. ( )

    22. 도가에 따르면, 성인은 옳고 그름을 분별하는 지식을 갖추어야 한다. ( )

    23. 불교는 도덕적인 사람이 되기 위해 충서를 실천해야 한다고 본다. ( )

    24. 유교는 사사로운 욕심을 극복하여 예를 실현하는 삶을 추구한다. ( )

    25. 도가에 따르면, 도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사회규범을 확립해야 한다. ( )

    26. 도가의 심재는 자연과 하나가 되기 위해 마음을 깨끗이 비우려는 노력이다. ( )

    27. 유교는 무욕과 무지의 삶을 통해 인을 실현해야 한다고 본다. ( )

    28. 도가는 만물을 차별하지 말고 평등하게 보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 )

    29. 불교에 따르면, 성인은 도덕과 예의로써 백성을 교화해야 한다. ( )

    30. 맹자는 순선한 본성을 형성하여 도덕적인 선택을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 )

    31. 도가는 명예와 욕심을 버리고 소박한 삶을 살아야 한다고 본다. ( )

    32. 도가는 선천적 본성을 회복하기 위해 예에 따르는 삶을 추구해야 한다고 본다. ( )

    33. 불교는 우주 만물의 무상함을 깨달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 )

     

    관련 평가원 핵심 문제 및 풀이는 다음 글인 필기 완성본에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
    LIST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