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윤리학의 분류
    2025 수능 대비 개념 정리/생활과 윤리 2023. 12. 11. 10:46
    728x90
    반응형
    SMALL

    윤리학의 분류

    튀르키예 여행을 2주 정도 다녀오고 오늘부터 내년에 사용할 교재를 업데이트 하고 있는데, 오늘부터 블로그에도 같이 업데이트 할 예정입니다.

     

    교재는 기본 내용, 관련 제시문 자료, 선지 OX 분석, 주요 평가원 문항 순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먼저 윤리학의 분류는 1번 문제 고정 픽이고 틀리면 안되는 주제입니다.

     

    <윤리학의 분류>

    인간의 특성
    - 사회적 존재 : 더불어 살아감
    - 윤리적 존재 : 반성, 성찰 / 올바른 가치 선택 by 자유의지 ==> 열린 존재
    도덕 사회의 승인 구속력 지님
    - 당위의 형식
    - 가치와 규범의 총체
    윤리 : 인간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
    윤리학 : 도덕(윤리)을 대상으로 하는 학문
    도덕을 실천하도록 안내해주는 당위의 학문
    가치 있는 삶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궁극적 목표

     

    1. 규범 윤리학

    옳고 그름의 판단기준(가치 판단의 기준)을 다루는 윤리학

    인간이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가에 대한 보편적 탐구

    ==> 모든 사람들에게 적용되는 도덕 규범의 체계를 정당화하기 위해 노력

    실천지향적(사실이 아니라 당위의 관한 것임)

    관심 분야

    인생에서 옳고 그름, 선과 악은 무엇인가?

    - 인생에서 무엇을 추구해야 하는가?

    -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 다른 사람들에게 무엇을 해야 하는가?

     

    (1) 이론 규범 윤리학 (이론 > 실천)

    도덕법칙(도덕규범)을 이론적으로 분석정당화

    객관적보편적 도덕법칙(원리) 제시

    도덕적 문제 해결의 토대 제공

    예시 : 의무론(행위 그 자체 중시, 칸트), 공리주의(행위의 결과 중시, 벤담),

    덕 윤리(행위자의 성품 중시, 아리스토텔레스)

     

    (2) 실천 규범 윤리학(응용 윤리학, 문제 중심 윤리학, 이론 < 실천)

    등장 배경

    - 사회와 과학 기술의 급속한 발달 새로운 윤리적 쟁점 등장

    - 윤리적 공백 : 과학 기술의 발달속도 > 윤리적 논의(요나스)

    실생활(현실적 도덕 문제)의 구체적 해결책 모색

    학제적 성격 : 다른 학문과의 관련성인접성

    ==> 문제 상황과 관련된 사실적 지식 요구

    예시 : 생명 윤리, 정보 윤리, 환경 윤리, 사회 윤리 등

     

    (3) 이론 윤리학과 응용 윤리학의 관계 및 주의점

    상호보완적(유기적) 관계

    - 응용 윤리학은 이론 윤리학에 토대를 둠

    - 이론 윤리학은 응용 윤리학을 통해 원리 적용, 윤리 문제 해결

     

    둘 다 규범 윤리학!!

    - 도덕 판단 위한 도덕 규범의 필요성 강조

    - 둘 다 이론과 실천에 관심 지님. 어디에 주요 목적 두는가에 따라 차이 남

    - 모두 당위적 진술 사용

    이론 윤리학은 현실의 도덕 문제에 관심 없다? ( )

    응용 윤리학은 어떤 도덕 이론들이 타당한 것인지 밝혀내는데 관심 있다? ( )

     

    2. 메타 윤리학(분석 윤리학)

    (1) 등장 배경 : 이론 윤리학에 대한 회의감

    (전쟁, 기아, 환경 오염 등의 문제 해결 × 처음으로 돌아가자!)

    (2) 의미론적 접근

    도덕적(윤리적) 언어의 의미 및 개념 분석

    옳다’, ‘그르다의 의미는 무엇인가?

    선하다’, ‘악하다의 의미는 무엇인가?

    (3) 논리적 접근

    논리적 타당성 검토

    논증 가능성 검토

    도덕적 추론의 규칙 검토(‘도덕 판단이란 무엇인가?’에 관심)

    사실 명제로부터 당위 명제가 연역 가능한지 탐구(인지주의)

    윤리학의 학문적 성립 가능성 검토!!

    (4) 인식론적 접근

    인지주의 : 도덕적 진리(명제)는 인식 가능, 도덕적 진술은 참 또는 거짓임

    비인지주의 : 도덕적 진리(명제)는 인식 불가능, 도덕적 진술은 참도 거짓도 아님

    - 정서주의 : 도덕적 진술은 감정 표현에 불과

    - 규정주의 : 도덕적 진술은 명령 표현에 불과

    (5) 문제점

    도덕 문제 해결에 직접적 관심 × 가치중립적, 객관적

    추상적개념적 탐구에 그칠 우려

    (6) 규범 윤리학과 메타 윤리학의 관계

    관심 분야 다름. but, 완전히 분리 ×

    오늘날 규범 윤리학은 이론의 타당성 검토 위해 메타 윤리학적 지식 활용

    규범 윤리학은 도덕적 지식의 성립 가능성을 부정한다? ( )

     

    3. 기술 윤리학

    도덕적 행위는 문화적 현상, 경험의 총체

    한 사회의 관습풍습 등을 객관적으로 조사서술묘사

    특정 문화권의 도덕 현상에 대해 가치 평가 없이(가치중립적) 서술

    경험과학적(사회과학적) 성격, 문화인류학적 성격

    기술된 현상들간 인과관계 정확히 설명

    타문화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

    메타 이론 : 이론적 연구를 토대로 함
    이론 실천 : 도덕원리를 토대로 도덕 실천 지향
    메타 기술 : 가치중립적, 객관적 성격
    728x90

    ★★ 기본 개념 및 선지 분석

    [1~12] 다음 문제의 빈칸에 알맞은 단어를 쓰시오.

    1. (               )은 도덕적 행위에 대한 이론적 분석과 정당화를 다룸으로써 현실의 윤리적 문제를 해결하는 기준을 제공하는 윤리학이다.

    2. (                )은 다양한 도덕원리를 구체적인 삶의 도덕 문제에 적용하는 윤리학이다.

    3. (                )은 도덕적 언어의 의미와 논리적 타당성을 엄밀히 분석하는 윤리학이다.

    4. (                )은 현대 생활에서 발생하는 구체적인 윤리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5. (                )은 특정 시대의 관습, 사회규범 등에 대해 조사하고 객관적으로 기술하는 윤리학이다.

    6. (                )은 보편적이고 객관적인 도덕법칙의 정립을 목표로 한다.

    7. (                )의 주요 주제는 “‘옳다는 것과 그르다는 것의 의미는 무엇인가?”와 같은 주제들이다.

    8. (                )의 종류에는 생태 윤리, 정보 윤리 등이 있다.

    9. 현대의 규범 윤리학은 이론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                  )적 지식을 활용한다.

    10. (                )은 도덕원리와 규칙을 탐구하여 도덕 규범의 체계를 확립하는 역할을 한다.

    11. (                )은 다양한 학문 분야의 이론을 바탕으로 삶의 구체적 상황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도덕적인 해결책을 모색하는 역할을 한다.

    12. (               )(                )은 도덕 문제를 가치중립적으로 분석하는 것에 중점을 둔다.

    반응형

    [13~31] OX TEST

    13. 이론 규범 윤리학은 도덕적 추론의 논리적 분석을 핵심 과제로 삼아야 함을 주장한다. ( )

    14. 메타 윤리학은 도덕적 관습을 객관적으로 기술하는 데에 주력해야 함을 주장한다. ( )

    15. 메타 윤리학은 도덕적 논의에 사용되는 도덕적 용어의 의미를 분석해야 함을 주장한다. ( )

    16. 메타 윤리학은 도덕적 신념이 참 또는 거짓인가를 확증할 수 있는 추론의 규칙을 검토하는 것을 주요 과제로 삼아야 함을 주장한다. ( )

    17. 응용 윤리학은 윤리적 문제의 해결은 가치를 분별하는 과정과 무관하지 않다고 주장할 것이다. ( )

    18. 이론 규범 윤리학은 인간으로서 추구해야 할 궁극적 목표를 제시한다. ( )

    19. 실천 규범 윤리학은 보편적인 도덕법칙의 규명을 목표로 삼는다. ( )

    20. 실천 규범 윤리학은 현대 사회의 실천적 문제에 대한 윤리적 해결 방안을 모색한다. ( )

    21. 이론 규범 윤리학은 도덕 판단의 근거가 되는 규범 체계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 )

    22. 실천 규범 윤리학은 메타 윤리학에 비해 도덕적 행위의 실천적 가치를 중시한다. ( )

    23. 메타 윤리학은 윤리학 자체의 학문적 성립 가능성에 대해 탐구한다. ( )

    24. 도덕적 추론의 논리적 타당성을 규명하는 것은 실천 규범 윤리학이다.

    25. 이론 규범 윤리학에서는 행위의 옳고 그름을 구분하는 도덕법칙을 제시한다. ( )

    26. 실천 규범 윤리학은 인접 학문과의 학제적 연계를 중시한다. ( )

    27. 기술 윤리학은 각 문화의 도덕적 풍습을 있는 그대로 기술하는 윤리학이다. ( )

    28. 의무론적 윤리와 공리주의 윤리는 실천 규범 윤리학에 속한다. ( )

    29. 이론 규범 윤리학과 실천 규범 윤리학은 모두 궁극적으로 바람직한 도덕적 삶의 방향을 제시한다. ( )

    30. 실천 규범 윤리학은 도덕 문제 해결을 위한 규범 윤리 이론의 응용 가능성을 부정한다. ( )

    31. ‘옳다’, ‘유덕하다같은 도덕적 술어의 의미를 검증하는 것은 이론 규범 윤리학에서 다루는 분야이다. ( )

     

    최근 3~4년간 평가원 문제는 다음 글인 필기 완성본에 풀이와 같이 있으니 참고하시면 됩니다.

    728x90
    반응형
    LIST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