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윤리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 2 : 서양
    2025 수능 대비 개념 정리/생활과 윤리 2023. 12. 12. 11:01
    728x90
    반응형
    SMALL

    윤리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 2 : 서양

    <윤리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 2 : 서양>

     

    의무론적 윤리설

     

    1. 자연법 사상

    자연에 보편적으로 주어진 법칙처럼 인간 사회의 원리도 존재 (인간이 제정 ×)

    인간 본성에 의거하는 절대적인 법 도덕적 직관 중시!

    선을 추구하고, 악은 피하라!

    속성 : 보편타당성, 항구불변성, 인식가능성

     

    (1) 스토아 학파(고대)

    모든 인간은 자연법을 파악할 수 있는 이성(Logos) 지님

    이성을 지닌 한 모든 인간은 평등 만민평등사상에 영향

    로고스 : 신의 섭리 = 자연법칙

    범신론 : 자연 만물에 신이 존재

    운명론적(숙명론적) 사고 : 신의 섭리를 벗어날 수 없음

    ==> 윤리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주의 필연적 질서에 순응!

     

    (2) 토마스 아퀴나스(중세)

    (유일신)의 섭리를 이성으로 파악

    신앙과 이성의 조화

    자연법의 명령은 자연적 성향(경향성)의 질서에 상응하는 계층적 질서로 형성

    - 1의 성향 : 자기 보존 다른 모든 실체와 함께 소유

    - 2의 성향 : 성욕과 종족 보존 동물과 함께 소유

    - 3의 성향 : 신과 사회에 대한 진리 파악 인간만이 갖는 본능

    법의 체계

    - 영원법 : 우주 질서에 부여하는 신의 지혜

    - 자연법

    ) 영원법에 근거

    ) 선을 행하고 악을 피하라

    ) 인간 이성의 명령 / 인간이 제정 ×

    - 실정법

    (3) 자연법의 한계 : 직관을 통한 도덕적 판단이 충돌할 경우, 명료한 해결책 제시 ×

     

     

    2. 칸트(근대)

     

    * 기본 용어

    인간은 이성적·자율적 존재 보편적 도덕법칙 인식

    순수이성 : 도덕을 판단, 인식하는 능력

    실천이성 : 선험적 도덕판단능력

    선의지 : 도덕적 의무를 존중하고 자주적으로 따르려는 의지

    - 오직 옳다는 이유로 행하는 의지

    - 오직 그 자체로 선함

    도덕법칙





     

     

    (1) 정언명령

    내용 : 무조건적 명령(반드시 ~해라), 상위의 목적 ×, 결과와 무관

    가언명령(조건부 명령, ~이면 ~하라)

    형식

    - 보편화 정식 : 네 의지의 준칙(격률) 보편적 입법의 원리가 되도록 하여라!

     

    - 인격주의 정식 : 인격을 단지 수단으로만 대우 ×, 언제나 동시에 목적으로 대우

     

    (2) 도덕적 행위

    실천이성의 명령에 따르는 행위

    도덕법칙에 따르는 행위

    정언명령을 따르는 행위

    선의지에서 비롯된 행위

    의무(의무의식)에서 비롯된 행위

     

    <심화> 의무에 합치(일치)하는 행위 = 의무에 맞는 행위

    도덕적 가치 : 의무의식에서 비롯된 행위

    도덕적 가치 × : 경향성, 동정심, 결과 등을 고려

    ==> 우연히 경향성·동정심 등이 의무에 합치할 경우, 칭찬·격려 받을 일!

    but, 결코 도덕적 가치가 있는 것은 ×

    ==> 동기론 : 도덕성을 판단할 때 행위의 결과보다 동기를 중시함

     

    (3) 도덕과 행복

    도덕과 행복은 양립 가능

    - 행복을 추구하지 말 것? ( )

    - 행복을 목적으로 추구하지 말 것? ( )

    행복 VS 도덕법칙 도덕법칙!

     

    (4) 인간

    도덕법칙의 수립자 : 이성적·자율적인 인간은 보편적인 도덕법칙을 의식하고 자율적으로 수립

    도덕적 가치의 근원

    목적 그 자체로 존중받을 존재

     

    (5) 비판점 : 형식주의적 윤리이므로 도덕 판단의 과정에서 구체적 지침 or 방법 제시 ×

     

    728x90

     

    공리주의적 접근

     

    등장 배경 : 18c 후반 영국 산업혁명으로 빈부 격차, 환경 오염 등의 문제 심화

    ==> 반성으로 최대다수의 최대행복

    기본 입장

    쾌락주의 : 쾌락은 선, 고통은 악(인간은 쾌락 추구, 고통 회피)

    경험적 결과의 유용성

    평등 중시 : 개개인의 행복은 모두 동일하게 중요

    개인의 행복, 사회 전체의 행복 조화 노력

    근대 원칙 윤리 : 보편적 도덕 원리·원칙 존재 칸트와 공통점

     

    1. 행위 공리주의(고전 공리주의)

     

    (1) 벤담 : 양적 공리주의, 도덕과 입법의 원리 서설

    자연은 인류를 쾌락과 고통이라는 두 주권자의 지배 아래 둠(쾌락은 선, 고통은 악)

    최대다수의 최대행복 : 도덕과 입법의 원리

    - 개인의 이익과 사회의 이익 조화 가능

    (개인의 사적인 모든 행위뿐만 아니라 정부의 모든 정책에 관한 것)

    - 사회적 이익은 개인 이익의 총합

    - 사회적 유용성은 개인의 쾌락보다 더 중요한 가치를 지님? ( )

    쾌락의 종류는 1 (종류가 없음)

    - 계산(계량화) 가능

    - 쾌락은 양적 차이만 존재(질적 차이 ×, 모든 쾌락은 질적으로 동일)

    - 쾌락의 기준(쾌락 계산법) 제시 : 강도, 지속성, 확실성, 근접성, 다산성, 순수성, 범위

    공리주의의 조건 제시 : 인간은 이기적 존재 외적 제재(법률, 강제력 등) 강조!

     

    (2) J.S : 질적 공리주의

    벤담의 공리주의 비판적 계승

    쾌락의 종류는 여러

    쾌락의 양적·질적 차이 모두 고려

    정상적 인간은 누구나 질적으로 높고 고상한 쾌락 추구

    다량의 저질 쾌락 < 소량의 양질 쾌락

    정신적 쾌락 > 감각적 쾌락 (더 높은 수준의 쾌락을 위해 고통을 감수할 수도 있음)

    배부른 돼지 < 배고픈 인간 / 만족스러운 바보 < 불만족스러운 소크라테스

    바람직한 쾌락 : 두 가지 쾌락 모두 경험한 사람들(쾌락의 전문가)이 선호하는 쾌락

    공리주의의 조건 제시 : 인간은 이타적 존재 내적 제재(양심) 강조

     

    2. 규칙 공리주의(현대 공리주의, 헤어)

    등장 배경 : 행위 공리주의의 문제점

    - 개별 행위 결과 계산의 어려움

    (개별 행위가 가져오는 공리의 증감을 각각의 상황마다 계산하는 것이 어려움)

    - 도덕적 직관에 어긋날 가능성 존재

    유용성의 원리를 일반적 행위의 규칙에 적용

    이미 유용성이 검증된 규칙 준수(규칙 준수 시 유용성)

    장점

    - 매번 행위의 결과를 계산할 필요 ×

    - 도덕적 직관에 위배 될 가능성

    - 좋은 결과를 산출할 확률

     

    행위 공리주의 규칙 공리주의 : 유용성 추구
    칸트 규칙 공리주의 : 규칙 준수

     

     

    덕 윤리

     

    1. 아리스토텔레스(고대)

     

    (1) 목적론적 세계관

    모든 존재는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 지님

    ex) 참나무는 참나무가, 도토리는 도토리가 될 목적을 지님

    인간 행위의 목적은 선 추구

    최고선(궁극 목적) : 행복 행복은 덕과 일치하는 정신 활동

     

    (2) : 사물과 사람이 기능을 탁월하게 발휘

    지성적 덕 : 교육을 통해 형성, 강화

    - 지성

    - 철학적 지혜

    - 실천적 지혜

    ) 일상생활 속, 어떻게 행위할 것인지에 대한 답

    ) 중용을 알 수 있게 해 줌

    중용
    - 상황과 때에 맞는 적절함, 마땅함(적당함 ×)
    - 지나침과 모자람의 중간(·부족이 없는 상태)
    - 산술적 평균 ×
    - 모든 감정과 행위에 중용 존재 ×(그 자체로 나쁜 것에는 중용 존재 ×)
    - 예시 : 용기(두려워할 것을 두려워하고, 두려워하지 않을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 것)
    , 절제, 검소 등

    품성적 덕(도덕적 덕)

    - 중용을 반복적 실천(습관화) 형성

    - 실천적 지혜 + 실천 의지 품성적 덕 형성

    - 지성적 덕은 품성적 덕의 필수 조건

     

    (3) 공동체적 삶 중시

     

     

     

    2. 매킨타이어(현대)

     

    (1) 등장 배경 : 의무론과 공리주의 등 행위 중심의 근대 윤리 비판

    ==> 지나치게 보편적·추상적 도덕 원리 강조

    근대 윤리 덕 윤리
    행위 중심 윤리
    보편적 도덕 원리
    추상적·일반적 원칙 제시
    행위자의 욕구, 감정 등을 무시
    구체적 상황에 적용하기 곤란
    칸트, 벤담,
    행위자의 도덕성 > 행위의 도덕성
    도덕적 인품·성품 중시
    - 공동체의 역사와 전통 속에서 찾아야 함
    - 관계맥락, 구체적 감정 등 중시
    구체적 상황에 적용
    이상적 인격 모델 제시

     

    (2) 의의

    도덕 실천력을 높일 수 있음

    행위자는 특수한 상황에서 어떤 행동이 적절한지 판단할 수 있는 덕(능력)을 갖추었으므로 도덕적 문제 상황에서 상황 맥락을 고려해서 행위할 수 있음

    내키지 않은 도덕적 행위로 인한 불행을 막을 수 있음

    (덕 윤리에서의 도덕적 행위란 억지로 행하는 고통스러운 일이 아니라, 성품에서 우러나오는 자연스러운 행위이기 때문)

     

     

    도덕 과학적 접근

     

    인간의 도덕성·윤리적 문제를 과학에 근거하여 탐구하는 방식

    ==> 관찰·실험에 의한 경험적 방법, 추론과 같은 합리적 방법 중시

    도덕적 판단과 행위에 있어 이성 중심의 전통적 견해에 대한 재검토의 필요성 제기

     

    1. 신경 윤리학

    를 과학적으로 살펴보면 인간의 윤리적 의식과 도덕법칙의 성격 파악 가능

    신경세포의 활동으로 윤리적 의식과 도덕성 해명

     

    2. 진화 윤리학

    이타적 행동 및 성품과 관련된 도덕성은 자연 선택을 통한 진화의 결과

    이타적 행위는 추상적인 도덕원리가 아닌 생물학적 적응의 산물

    과학을 통해서 도덕성 형성과정 설명

    반응형

    ★★ 기본 개념 및 선지 분석

     

    [1~15] 빈칸에 알맞은 말을 써넣으시오.

    1. 칸트는 도덕성을 판단함에 있어, 행위의 (        )보다 (        )/를 중시한다.

    2. 칸트는 법칙주의자로서, 그 자체가 (       )(           )적 명령으로서의 도덕법칙을 제시한다.

    3. 칸트는 오로지 의무 의식, (              ) 명령에서 나온 행위만을 도덕적 행위로 본다.

    4. 공리주의의 기본 관점으로는 (        )주의와 (        )주의가 있다.

    5. 공리주의자들은 최대 (        )의 최대 (         )()라는 원리를 도덕적 기준으로 제시한다.

    6. 벤담은 (       ) 공리주의자이다.

    7. 밀은 (       ) 공리주의자이다.

    8. 벤담의 공리주의는 모든 쾌락은 질적으로 (        )하다고 주장한다.

    9. 밀은 쾌락의 (      )뿐만 아니라 (      )인 차이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10. 현대 공리주의에서 공리의 원리에 의해 정당화되는 규칙에 기반한 공리주의를 (       ) 공리주의라고 한다.

    11. 일상적인 도덕 규칙들이 서로 충돌하는 갈등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현대의 공리주의는

    (       ) 공리주의이다.

    12. 덕 윤리는 행위 중심이 아닌 (            ) 중심의 윤리이다.

    13. 신경 윤리학은 도덕적 판단 혹은 (         ) 과정에서 이성과 정서의 역할, 인간의 (         ), 공감 능력 여부 등을 과학적 측정 방법을 활용하여 입증하고자 한다.

    14. 도덕성을 진화의 측면에서 설명하는 윤리학을 (        ) 윤리학이라고 한다.

    15. 진화 윤리학은 인간의 이타적 행위는 추상적인 도덕 원리가 아니라 (             )적 적응의 산물이라고 여긴다.

    SMALL

    [16~37] OX TEST

    16. 칸트는 스스로 자기 자신을 수단으로 취급하는 행위가 자율적이므로 도덕적이라고 본다. ( )

    17. 칸트는 동정심에서 유발된 행위는 도덕적인 행위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 )

    18. 벤담은 행위의 결과가 가져올 사회적 유용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 )

    19. 매킨타이어는 사회 구성원에게 필요한 행위자 내면의 도덕성과 품성을 함양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 )

    20. 매킨타이어는 덕은 습득된 인간의 자질로서 그것의 소유와 실천이 우리로 하여금 실천에 내재된 선들을 성취할 수 있게 한다고 본다. ( )

    21. 벤담은 공리의 원리를 개인의 행위뿐만 아니라, 정부의 시책에 대해서도 적용되는 원리로 본다. ( )

    22. 밀은 판단을 내릴 때 인간의 무오류성을 전제한다. ( )

    23. 칸트는 벤담과 달리 행위 자체의 도덕성에 주목한다. ( )

    24. 칸트의 입장에서 의무에 맞는 행위는 모두 도덕적이다. ( )

    25. 덕 윤리에서는 유덕한 행위를 지속적으로 실천하여 습관화할 것을 강조한다. ( )

    26. 규칙 공리주의에서는 공리를 극대화할 가능성이 가장 큰 규칙을 따를 것을 주장한다. ( )

    27. 칸트는 자연적 감정을 윤리적인 행위의 원천으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 )

    28. 덕 윤리에서 행위의 기준으로 삼는 것은 사회적 효용의 극대화이다. ( )

    29. 규칙 공리주의에서는 공리의 원리를 개별 행위가 아니라 규칙에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 )

    30. 덕 윤리에서는 개인이 공동체의 역사를 공유하는 존재라고 본다. ( )

    31. 벤담은 칸트와 달리 도덕 판단에서 행복 추구의 경향성을 중시한다. ( )

    32. 아리스토텔레스는 사회 구성원으로서 갖추어야 할 훌륭한 인품에 비추어 행동해야 한다고 보았다. ( )

    33. 매킨타이어에 따르면, 덕은 사회적 실천을 통해 선을 이루는데 필요한 성품이다. ( )

    34. 매킨타이어에 따르면, 인간은 타고난 덕을 실천해야 도덕적 행위를 할 수 있다. ( )

    35. 칸트에 따르면,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의 원리가 도덕적 행위의 기준이다. ( )

    36. 매킨타이어는 행위의 도덕성 평가에서 동기와 감정이 배제되어야 한다고 본다. ( )

    37. 칸트는 자신이 지닌 경향성에 따라 도덕적인 선택을 내려야 한다고 본다. ( )

    728x90
    반응형
    LIST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