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윤리 문제의 탐구와 실천
    2025 수능 대비 개념 정리/생활과 윤리 2023. 12. 12. 11:14
    728x90
    반응형
    SMALL

    윤리 문제의 탐구와 실천

    이 단원은 내용 요소가 출제되는 단원은 아니고 문제 형식으로 출제됩니다. 삼단 논법이나 토론의 핵심쟁점을 찾는 비문학 독해로 출제됩니다.

     

    <윤리 문제의 탐구와 실천>

     

    1. 윤리적 탐구를 위한 사고

    논리적 사고

    전제로부터 결론 또는 주장을 타당하게 도출

    - 논리적 모순 또는 오류를 따지는 것

    합리적 사고 : 올바른 근거로 이치에 맞는 사고를 하는 것

    비판적 사고 : 논리적 사고 + 합리적 사고

    ==> 어떤 주장을 무비판적으로 수용 ×, 적절성타당성을 따져 봄

    배려적 사고 : 도덕적 감수성, 공감능력

     

    2. 윤리적 탐구의 특징

    (1) 이성적 사고 + 정서적 측면

    (2) 당위적 차원에 주목

    과학적 탐구 윤리적 탐구
    사실 판단 (/) 가치 판단 (/)
    당위의 형식으로 표현

     

    윤리적 탐구는 사실적 판단이 필요? ( )

    윤리적 탐구는 사실적·객관적 차원의 진위 규명에만 머물러야 한다. ( )

     

    3. 윤리적 탐구 단계

    윤리적 쟁점 또는 딜레마 확인

    자료 수집 및 분석

    입장 채택 및 정당화 근거 제시

    - 역할 교환 검사 : 역지사지(이성적 판단 + 정서적 고려)

    - 보편화 결과 검사 : 모든 사람에게 적용

    - 반증 사례 검사 : 반대 또는 다른 사례 제시

    - 포섭 검사 : 더 상위의 도덕 원리에 포함되는지 적용

    최선의 대안 도출 : 토론 필요!

    반성적 성찰

    728x90

    4. 도덕적 추론

    대전제 : 보편적 도덕원리(가치 판단)

    ==> 검사법 : 역할 교환 검사, 보편화 결과 검사, 반증 사례 검사, 포섭 검사

    소전제 : 사실 판단(객관적 진위)

    - 사실 : 참인 사실, 거짓인 사실

    - 검사법 : 인과관계 검사(개념과 사실 관계를 명확하게!)

    결론 : 도덕 판단(가치 판단)

    예시

    - 대전제 : 위법행위는 옳지 않다.

    - 소전제 : 노상방뇨는 위법행위다.

    - 결론 : 노상방뇨는 옳지 않다.

     

    5. 토론

     

    (1) 과정

    주장 : 윤리적 문제에 대한 자신의 잠정적 생각 제시

    반론(반박) : 상대방 주장 검토, 반박

    재반론(방어) : 반론에 대한 반박

    반성 및 정리 : 반성 및 최종 입장 발표

     

    반응형

    (2) 자유론by J.S

    사상과 토론의 자유 : 표현의 자유가 보장될 때 진리 확증 가능 (다수결 ×)

    소수 의견 중시 : 단 한 사람만이 반대 의견 제시해도 침묵 강요 ×

    거짓된 의견이라도 공론에서 다루어져야 함

    - 토론을 통해 진리와 거짓을 논쟁

    ==> 진리를 더 생생하고 명확하게 드러낼 수 있음(오류가능성 )

    - 유용성 (공리주의)

    인간이 지닌 한계, 오류 가능성 인정

    토론과 경험을 통해 자신의 잘못을 바로잡아야 함

    타인에게 해악을 가하는 경우에는 표현의 자유 제한 가능

     

    6. 성찰

    (1) 소크라테스

    성찰하지 않는 삶은 살 가치가 없다.

    무지의 자각 : 산파술(대화법) / 너 자신을 알라

    지덕복합일 : 참된 앎() = = (행복)

    (2) 아리스토텔레스 : 중용(때와 상황에 맞는 적절한 감정, 욕구) ==> 성찰의 기준

    (3) 유교

    - 거경 : 경의 자세, 태도

    - 주일무적(마음 집중), 정제엄숙(엄숙한 태도), 상성성(또렷한 정신 상태)

    - 신독 : 혼자 있을 때도 삼가야 함

    이황

    - 함양(정신적) : 학식을 넓혀 품성을 닦음

    - 체찰(신체적) : 몸으로 익혀 실천

    증자 : 일일삼성

    - 남을 위해 정성을 다하였는가?

    - 벗들에게 신의를 다하였는가?

    - 스승의 배움을 잘 실천하였는가?

    SMALL

    ★★ 기본 개념 및 선지 분석

     

    1. 윤리 문제 해결을 위해 (                ) 과정을 거쳐 도덕 판단을 내리고, 도덕적 행위를 실천하고자 하는 과정을 도덕적 탐구라고 한다.

    2. 객관적 증거에 비추어 사태를 파악, 판단하여 결론을 맺거나 행동하는 과정을 (              ) 사고라고 한다.

    3. 도덕 원리 검사 방법 중 선택한 도덕 원리에 반대되는 사례는 없는지 검토하는 방법을

    (             ) 검사라고 한다.

    4. 도덕 원리와 사실 판단으로 도덕 판단을 내리는 방법을 (              )()라고 한다.

    5. 집단과 집단 내 구성원들이 행동과 방침의 지향점을 성찰하는 것을 (              ) 성찰이라고 한다.

    6. 유교의 개인적 성찰 중, 홀로 있을 때도 도리에 어긋나지 않도록 몸과 마음을 바르게 하고, 언행을 신중하게 하는 성찰을 (            )()라고 한다.

    7. 아리스토텔레스는 도덕적 행동의 반복된 실천을 통해 도덕적 습관을 들여 (               )에 이르러야 한다고 본다.

    8. 맹자는 의로운 행위의 실천을 통해 불의 앞에서도 당당할 수 있는 (             )의 기운을 길러야 한다고 본다.

    9. 증자의 (               )남을 돕는데 정성스럽게 하였는가?”, “친구와 교제하는데 신의를 다하였는가?”, “스승에게 배운 것을 잘 익혔는가?”의 세 가지 물음이다.

    728x90
    반응형
    LIST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