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정보 사회와 윤리
    2025 수능 대비 개념 정리/생활과 윤리 2024. 1. 8. 21:47
    728x90
    반응형
    SMALL

    정보 사회와 윤리

     

    <정보사회와 윤리>

     

    1. 정보사회의 양면성

    장점 단점
    정보의 분권화 평등성
    전자 민주정 직접 민주정에 근접
    개성과 다양성 존중
    ·공간 제약 극복(유비쿼터스 사회)
    사생활 침해
    익명성 무책임
    정보 격차 빈부 격차
    정보 독점 빈부 격차

     

    2. 정보사회의 윤리적 문제

     

    (1) 지적 재산권 침해 문제(정보의 소유 문제)

    정보 사유론(카피라이트) 정보 공유론(카피레프트)
    · 창작물에 대한 배타적·독점적 권리 인정
    · 창작물에 대한 경제적 대가 지불
    ==> 창작 의욕 고취
    · 정보는 인류 공동의 자산
    (기존 정보 가공·변형) ==> 공공재 성격
    · 정보 격차 완화

    * 공통점 : 양질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 중시 (정보의 확산은 사회 발전을 가져옴)

     

    (2) 개인 정보 유출 및 사생활 침해 문제



    · 정보의 자기 결정권, 삭제 권한 인정
    · 초상권, 프라이버시권 등 인격권 보호
    · 공익을 위해 사람들이 알아야 할 정보 삭제 금지
    · 표현의 자유

     

    (3) 게임·인터넷 중독 : 절제력 부족 현실 멀리함

    (4) 정보 격차 : 정보 접근과 활용 어려운 정보 소외 계층 경제적 약자 될 가능성

    (5) 정보 자체의 윤리 : 정보의 진실성, 가치 문제(데이터 스모그, 거짓 정보의 홍수)

    (6) 정보 매체의 윤리 : 정보 왜곡·통제·조작 등

     

    3. 사이버 공간에서의 인간 심리


    긍정적 영향 부정적 영향
    탈억제 효과 · 자비로운 탈억제
    - 자유로운 의사 표현,
    개성 발산
    - 새로운 관계 형성
    · 해로운 탈억제
    일탈 행위 유발
    몰입 체험 · 지식, 창의성, 자존감 · 현실 도피, 인터넷 중독
    소속감 · 높은 친밀감, 연대의식
    · 정서적 유대감
    · 집단행동 논리
    무책임한 행동

     

    728x90

     

    4. 사이버 공간에서의 표현의 자유

     

    (1) J.S. : 자유론

    표현의 자유 침해 ==> 진리를 찾을 기회나 명확하게 드러낼 기회 ×

    타인에게 해악을 가하는 경우에는 표현의 자유 제한 가능

    (2) 인터넷 실명제

    찬성 반대
    · 익명성, 표현의 자유에서 오는 부작용 예방 가능
    ex. 욕설, 유언비어 유포, 사생활 침해 등
    · 신원 확인으로 사이버 범죄 예방 가능
    ex. 인터넷 상거래 사기, 사이버 폭력 등
    · 개인 정보 남용 우려
    · 익명적 표현의 자유 침해
    · 검열로 국민의 자유로운 의사 표현 위축

     

    5. 해결 방법

     

    (1) 개인적·의식적 차원

    : 자율적 규제 ==> 양심, 선의지 등 함양·개선

    (2) 제도적·구조적 차원 : 법률적, 기술적 규제

     

     

    * 사이버 불링(사이버 괴롭힘)

    상시적 가해 ==> 피해자의 지속적 고통

    빠르고 광범위한 확산

    비대면성

    집단적 가해

     

    * 인터넷(사이버) 리터러시 : 정보의 이해·표현·수용·전달 능력

    반응형

    6. 뉴미디어

     

    (1) 대중매체의 기능 : 정보 제공, 사회 구성원에게 오락·휴식 제공

    (2) 뉴미디어의 특징

    정보 생산과 소비의 쌍방향적 소통

    정보 전달의 신속성

    정보 획득의 비동시성

    탈대중화 현상 : 특정 대상과 특정 정보 교환

    (3) 뉴미디어의 문제점 : 객관성·신뢰성 부족

     

    7. 매체 윤리

     

    정보 생산과 유통 과정에서 필요한 윤리 : 진실한 태도, 개인의 인격권 보호 등

    정보 소비 과정에서 필요한 윤리 : 미디어 리터러시 함양, 정보의 비판적·능동적 수용

     

    SMALL

    ★★ ○× TEST

     

    1. 정보 공유론을 주장하는 입장에서는 정보의 공유가 사회 경제적 불평등의 완화에 기여한다고 본다. ( )

    2. 밀은 사회적 유용성 차원에서 표현의 자유를 제한할 것을 주장한다. ( )

    3. 사이버 공간의 긍정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입장에서는 사이버 공간이 자아 정체성을 다양화하여 인간관계 형성을 어렵게 한다고 본다. ( )

    4. 정보 공유론 입장에서는 정보 사유론 입장에 비해 정보 접근의 불평등 해소를 중시한다. ( )

    5. 정보 자기 결정권을 통해 정보 격차를 완화하여 정보 소외 계층을 줄일 수 있다. ( )

    6. 잊힌 권리 보장을 우선시하는 입장에서는 잊힐 권리 보장이 알 권리 침해로 이어짐을 강조한다. ( )

    7. 정보 사유론 입장에서는 정보에 대한 소유권이 개인의 노력과는 무관하게 성립된다고 본다. ( )

    8. 정보의 생산·유통자는 대중에게 사회의 진실한 모습을 알리는 것을 궁극적 목표로 삼아야 한다. ( )

    9. 정보의 생산·유통자는 대중을 기만하거나 속임수를 쓰지 말아야 한다. ( )

    10. 정보의 생산·유통자는 공익과 국익에 어긋나더라도, 자신의 이익을 추구해야 한다. ( )

    11. 정보의 생산·유통자는 사회적 책임에 대한 고려보다는 언론의 자유 추구를 언제나 우선시해야 한다. ( )

    12. 정보의 생산·유통자는 객관성과 공정성 유지를 위해 독립성을 유지해야 한다. ( )

    13. 뉴미디어 시대는 대중이 곧 정보의 소비자이자 생산자이다. ( )

    14. 정보의 소비자는 매체의 정보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수용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 )

    15. 정보의 소비자는 개인의 취향에 따라 지나치게 폭력적이고 선정적인 소재도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 )

    16. 정보의 소비자는 매체들이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지 감시해야 한다. ( )

     

    728x90
    반응형
    LIST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