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증산교
-
한국 전통 윤리 사상의 근대적 지향성 : 위정척사, 동도서기, 동학, 원불교, 증산교2025 수능 대비 개념 정리/윤리와 사상 2024. 3. 17. 22:54
한국 전통 윤리 사상의 근대적 지향성 : 위정척사, 동도서기, 동학, 원불교, 증산교 조선 후기 유교 사상 1. 강화학파(정제두) ① 양명학을 기본으로 함 ==> 심즉리, 양지, 치양지, 지행합일 등 ② 인간이 도덕적 주체 - 사욕 극복 - 양지 발휘 강조 (내면에 충실) ③ 심즉생리 : 마음에서 생생하게 활동하는 이치 ( ↔ 사리 : 마음 밖의 이치는 죽은 이치) 2. 위정척사 사상 ex. 이항로 (1) 의미 : 옳은 것을 지키고, 사악한 것을 배척 ① 정학 : 유교적(성리학적) 가치·질서 (인의의 덕) ② 사학 : 불교, 도가, 서학 cf. 유·불·도의 주체적 수용? (×) (2) 특징 : 척왜척양(반외세) ① 내수외양 - 안으로는 성리학적 정신·질서 유지 - 밖으로는 서구 문물·정신 배척 ② 왜양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