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도덕적 심성 : 퇴계 이황, 율곡 이이, 다산 정약용
    윤리와 사상 수업 2022. 2. 16. 12:37
    728x90
    반응형
    SMALL

    도덕적 심성 : 퇴계 이황, 율곡 이이, 다산 정약용

     

    <도덕적 심성 1 : 퇴계 이황>

     

    1. 이기론

     

    (1) 성격

    : 본연지성 원리적 개념(순선무악) ==> 악의 가능성 존재 ×

    : 기질지성 현상적 개념(가선가악) ==> 악의 가능성 존재

     

    (2) 관계 : 이기불상잡 > 이기불상리

     

    (3) 이귀기천 : 리의 우월성 강조

    리는 귀하고 기는 천하다.

    이는 장수, 기는 병졸

    천리와 인욕이 뒤섞이는 병폐를 차단

     

    (4) 이기이원론 : 이와 기는 각각 개념, 혈맥, 근원이 다름

     

    (5) 리의 운동성(=작용==동정) 주장 : 이기호발

    이와 기는 서로(각각) 작용()

    이발기수 : 이가 발할 때 기가 따른다.

    기발이승 : 기가 발할 때 이가 그 원인으로 타고 있다.

     

    2. 심성론

     

    (1)

    본연지성과 기질지성 구별

    본연지성 : 리만!, 기를 겸하지 ×, 순선 ==> 수양의 대상 ×

    기질지성 : +, 기를 겸함, 가선가악 ==> 수양의 대상

     

    (2) : 사단칠정론

    사단·칠정은 모두

    - 사단 : 도덕적 감정

    - 칠정 : 일반적 감정

    사단·칠정 구별(=분리=분속=각각)

    - 사단 : 이발기수

    ) 리가 발할 때, 기가 따른다.

    ) 천리()에서 발한 마음

    ) 순선한 마음

    - 칠정 : 기발이승

    ) 기가 발할 때, 리가 그 원인으로 타고 있다.

    ) 기질(감정)에서 발동한 감정

    ) 가선가악

    · 사단과 칠정의 연원? 다르다!
    · 사단의 선과 칠정의 선은 다르다!
    · 사단 이외의 순선한 감정은 존재 ×

     

    3. 수양론

     

    (1) 거경궁리

    거경 : 경건한 마음 유지

    궁리 : 사물의 이치 탐구

     

    (2) 경의 실천 방법

    주일무적 : 마음을 한 곳에 집중, 잡념 발생 ×

    정제엄숙 : 몸가짐 단정히, 엄숙한 태도 유지

    상성성 : 항상 깨어 있어서 또렷한 정신상태 유지

    경을 실천하면 저절로 성(: 순수한 마음)에 이를 수 있음

     

     

    <도덕적 심성 2 : 율곡 이이>

     

    1. 이기론

     

    (1) 관계 : 이기불상잡 < 이기불상리

     

    (2) 이통기국

    리는 통하고 기는 국한된다.

    보편성 특수성

    (천리) : 공통적 / (기질) : 차이 발생시킴

    리와 기는 대등! (가치·경중의 측면)

    교기질 : 기질의 변화 강조 ()

     

    (3) 이기지묘

    현실 사물에서 이와 기는 오묘하게 조화를 이룸

    이와 기의 관계

    - 시간적 : 선후 부정 cf. 이황 : 이발기수 (리 먼저!)

    - 공간적 : 이합(헤어지고 만나는 것) 부정

     

    (4) 기발이승일도설

    (=운동=작용)하는 것은 기, 리는 그 원인으로 타고 있다.

    리발 부정 ==> 퇴계의 이기호발설 비판 (마음에 두 개의 근본을 만들고 있다고 비판)

     


    이황 이이




     

    2. 심성론

     

    (1)

    본연지성은 이름뿐!

    성은 기질지성!

     

    (2) : 사단칠정론

    연원(근원)

    - 사단과 칠정은 하나의 근원(연원)

    - 사단과 칠정은 모두 기발이승

    관계

    - 사단은 칠정의 다른 이름(별칭)

    - 철정 : 일반적 감정 (, , , , , , )

    - 사단은 칠정이 중절한 것! (칠정이 인위의 영향을 받지 않고 절도에 맞게 발한 것)

    - 사단과 칠정은 부분과 전체의 관계

    - 칠포사 : 칠정은 사단을 (포함)

    ) 사단은 칠정의 선한 부분

    ) 정은 칠정일뿐!

    반응형

     

    3. 수양론

     

    (1) ==========>

    사욕 극복 방법 순선한 본체 획득

    이황 : 오직 을 실천하면 저절로 에 이를 수 있음을 강조
    이이 : ‘을 통해 사특한 마음을 제거하고, ‘에 이를 것을 강조

    경으로 사욕 제거 천리에 도달 (정성스럽게 함)

     

    (2) 교기질

    기질 차이가 성인과 보통 사람의 차이를 만듦

    기질의 변화 () ==> 수행에 있어서 입지를 강조

     

    (3) 무실 : 사회나 제도와 같은 실질에 힘써야 함

     

    (4) 경장 : 묵은 제도를 개혁하여 새롭게 해야 함

    이황 이이
    이기불상잡 & 이기불상리
    사단과 사덕은 선천적으로 내재
    - 사덕 = 본연지성 = 천리
    - 사단은 사덕의 단서
    사단과 철정은 모두
    칠정 : 기발이승

     

    <도덕적 심성 3 : 다산 정약용>

     

    1. 심성론

     

    (1) 성기호설

    본성() = 기호(욕구, 좋아함, 경향성) ==> 선천적

    ex. 사덕 : 본성 ×, 천리 × / 천리로서의 사덕? ×

    기호

    형구의 기호(인심) 영지의 기호(도심)
    · 본능적·감각적 욕구
    ex. 식욕·수면욕 등 생존 욕구
    · 절제의 대상 (부정하지는 않음)
    · 기질의 성
    · 인간과 동물의 공통점
    · 선을 좋아하고 악을 싫어함
    선을 좋아함 측은지심·사양지심 ==> ·
    악을 싫어함 수오지심·시비지심 ==> ·
    [본성] [사단] : 선천적 내재 [사덕]
    선택 ==> 실천(확충) ==> 형성
    ==> 선을 행하면 고스란히 내 , 악을 행하면 고스란히 내
    · 본연의 성 = 도의의 성
    · 하늘이 부여 ( ), 인간만 지님!
    cf. 하늘이 인간의 본성을 부여? ( )

     

    사단 : 본성 ×. but, 선천적으로 내재 (성리학 정약용) ==> 본성의 구체적 내용
    본성 : 결정 되어진 것 아님, 본성이 도덕적 선을 지향
    (인간은 선을 좋아하는 존재로 그 가능성에 초점!)

     


    본연의 성 기질의 성
    주자 사람과 사물의 공통점, 천리 사람과 사물에서 차이 남
    정약용 사람만 부여, 영지의 기호 생존 욕구 ==> 사람과 사물의 공통점

     

    (2) 자주지권

    인간만이 도덕적 기호(욕구) 지님 (동물은 ×)

    자주지권

    - 선과 악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능력 책임!

    - 선천적(하늘로부터 부여받음), 인간만 지님!

    (3) 욕구 긍정 욕구는 도덕적 삶의 원동력

    (4) 물아 이분관 : 인간은 자연 앞에 독존하는 실체(혈기적 존재) ==> 천인합일 관점에서 탈피

     

    SMALL

    2. 덕론 : 단시설

     

    사단(사심) : 측은지심 수오지심 사양지심 시비지심 ==> 시작(출발점)

    ↓ ↓ ↓ ↓

    사덕 : 인 의 예 지 ==> 형성

     

    사덕은 사단이 출발점(시작점)이 되어 형성된 것!


    정약용 성리학(주희, 퇴계, 율곡)
    사덕 형성 / 천리 × 천리
    본성 영지의 기호 본연지성(···=사덕)
    ==> 성즉리
    사단 · 선천적으로 내재
    · 사단의 확충, 인간만 지님
    · 본성 ×
    사단·사덕의 관계 사단 시작 (단시설) 사단 단서 (단서설)

     

    조선 실학
    특징 : 청나라 고증학 계승 (증거, 사료, 현실 개선 중시)
    학파 : 모두 도덕 사회 실현 지향 (정덕 구현)
    - 경세치용학파 : 농업 중시, 토지 제도 개혁(정약용)
    - 이용후생학파 : 상공업 중시(박지원, 홍대용)
    - 실사구시학파 : 역사, 사료, 증거, 문헌, 지도 중시(김정희)

     

    ★★ 기본 개념 및 선지 분석

     

    [1~12] 빈칸에 알맞은 단어를 써넣으시오.

     

    1. 이황은 이와 기 모두 발할 수 있다는 (            )/를 주장했다.

    2. 이황은 사단을 (       )/가 발하여 (        )/(     )/를 따른 것이라고 보았다.

    3. 이황은 칠정을 (       )/가 발하여 (        )/(     )/를 탄 것이라고 보았다.

    4. 이이는 이는 통하고, 기는 국한된다는 ( )/를 제시했다.

    5. 이이는 오직 (    )만이 발할 수 있다고 보았다.

    6. 이이는 사단이 (     ) (     )만을 가리켜 말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7. 이이가 말하는 (             )/는 선한 도덕적 본성을 드러내기 위해 기질을 바로잡아야 한다는 뜻이다.

    8. (     )의 구체적 실천 방법으로는 주일무적, 정제엄숙, 상성성이 있다.

    9. 정약용은 성리학의 소모적 논쟁을 비판하며 현실적인 사회 혼란을 해결하기 위한 학문인 (              )/를 추구했다.

    10. 정약용은 인간이 선이나 악을 스스로 선택하여 행하는 (            )/를 지닌 존재라고 보았다.

    11. 정약용은 성이 선을 좋아하고 악을 싫어하는 마음의 기호로 이루어졌다는 (           )/를 주장했다.

    12. 정약용은 인간만이 (            )의 기호를 지닌다고 본다.

     

    [13~59] × TEST

     

    13. 이황은 도덕 감정과 일반 감정의 연원이 서로 다르지 않다고 본다. (   )

    14. 이이는 사랑이라는 일반 감정과 측은해하는 마음이 사실상 별개로 분리될 수 있다고 본다, (   )

    15. 이황은 이가 오로지 선한 것이며 사단의 근원이 된다고 본다. (   )

    16. 정약용은 사덕이 선을 좋아하는 경향성을 실천함으로써 형성된다고 주장한다. (   )

    17. 이황은 칠정이 기가 발한 것이지만 선으로 드러날 수 있다고 본다. (   )

    18. 이이는 기쁨은 선으로, 슬픔은 악으로 드러나는 정이라고 본다. (   )

    19. 정약용은 사단을 인간이 생득적으로 지닌 본성으로 본다. (    )

    20. 이이는 이가 만물의 근원이자 기가 발하는 까닭이라고 본다. (   )

    21. 이황에 따르면, 사단은 이가 마음 밖에서 발하여 드러나는 것이다. (   )

    22. 정약용은 도덕적 삶을 위해서 인간의 욕구는 제거되어야 한다고 본다. (   )

    23. 정약용에 따르면, 사양지심은 예의 실마리가 아닌 예의 시작이다. (   )

    24. 이황과 이이는 모두 칠정이 선 또는 악으로 드러날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   )

    25. 이황은 천리를 현실 세계를 움직이는 근본 원리로 본다. (   )

    26. 정약용은 사단을 일상에서 선을 실천해야 형성되는 것으로 본다. (   )

    27. 이황은 순선한 사단에는 이만 있고 칠정에는 이기가 함께 있다고 본다. (   )

    28. 이황은 이가 쓰임의 차원에서 보면 운동성이 없는 것이라고 보았다. (   )

    29. 이이는 선한 정뿐만 아니라 악한 정도 기가 발한 것이라고 본다. (   )

    30. 이이는 사욕을 제거하여 편벽된 기질을 바로잡아야 한다고 본다. (   )

    31. 이이에 따르면, 마음이 지니고 있는 본성은 기호이다. (   )

    32. 정약용은 성에 선천적인 덕이 내재되어 있지 않다고 본다. (   )

    33. 정약용은 기질지성이 인간만이 가지고 있는 기호라고 주장한다. (   )

    34. 이이는 이와 기를 형태가 없다는 점에서 같은 것이라고 본다, (   )

    35. 정약용에 따르면, 악을 부끄럽게 여기는 성향은 인간의 본성이다. (   )

    36. 이이는 기질을 바로잡음으로써 이의 본체를 실현해야 한다고 본다. (   )

    37. 이황과 이이는 사단은 누구나 지니고 있는 선한 정이라고 본다. (   )

    38. 정약용은 자주지권이 도덕적 실천을 통해 획득된다고 본다. (   )

    39. 이이는 사단이 칠정 가운데 선한 것을 가리키는 것이라고 보았다. (   )

    40. 정약용에 따르면, 사람은 선악의 구별 능력은 없으나 실행 능력은 있다. (   )

    41. 이황은 이는 기가 없으면 스스로 작용할 수 없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   )

    42. 정약용은 인간이 사양지심을 실천하여 후천적으로 형성된 덕을 예라고 보았다. (   )

    43. 이이에 따르면, 경을 지니는 것은 궁리의 바탕이라고 할 수 있다. (   )

    44. 정약용은 사단을 사덕이 마음에 있음을 알게 해 주는 단서로 본다. (   )

    45. 이황은 측은지심이 이의 작용이라고 보았다. (   )

    46. 이이는 이치만 탐구해도 마음의 본체인 성을 실현할 수 있다고 본다. (   )

    47. 정약용은 타고난 사덕의 마음을 확충하여 실천할 것을 주장했다. (   )

    48. 이이는 이가 작용이 없으며 만물에 두루 갖추어져 있다고 본다. (   )

    49. 이황은 기쁨이나 슬픔이나 노여움 등과 같은 칠정에는 선이 존재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   )

    50. 이황은 사단을 이가 발한 성으로, 칠정을 기가 발한 정으로 본다. (   )

    51. 정약용은 인의예지가 마음 안에 본래부터 내재하지 않는다고 본다. (   )

    52. 정약용에 따르면, 인간은 마음 안의 경향성을 따를 때 언제나 선을 추구한다. (   )

    53. 이황은 칠정이 사단을 포함하는 감정이라고 주장했다. (   )

    54. 정약용은 사단을 사덕의 시작이 될 수 있는 선한 마음으로 본다. (   )

    55. 이황은 이기가 분리되었을 때 악행을 하게 된다고 본다. (   )

    56. 정약용은 인의가 측은과 수오의 마음을 일상에서 확충함으로써 얻게 되는 덕이라고 주장했다. (   )

    57. 이이는 기질지성이 본연지성으로 변화될 수 있다고 본다. (   )

    58. 이황과 이이는 모두 칠정이 기가 발하고 이가 탄 것이라고 주장했다. (   )

    59. 순자와 정약용은 모두 사람은 성이 악하지만 선을 행할 수도 있다고 보았다. (   )

     

      윤리와 사상 과목에서 학생들이 가장 싫어하는 단원 중 하나입니다 ㅎㅎ 지난 단원인 성리학과 연계되어서 출제되는 경우도 많구요.... 중국 성리학과 양먕학, 그리고 퇴계 이황, 율곡 이이, 다산 정약용 등 한국 성리학자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정확히 짚어내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728x90
    반응형
    LIST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