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사회문화 현상의 연구방법 & 자료 수집 방법
    2025 수능 대비 개념 정리/사회문화 2024. 1. 27. 10:53
    728x90
    반응형
    SMALL

    사회문화 현상의 연구방법 & 자료 수집 방법

     

    <사회문화 현상의 연구 방법>

     

    1. 양적(실증적) 연구 방법

     

    (1) 전제 : 방법론적 일원론 (자연 현상의 연구 방법 = 사문 현상의 연구 방법)

    (2) 의미 : 경험적 자료 계량화 사문 현상의 인과 관계 설명 ==> 법칙 발견

    (3) 절차

    문제 인식,
    연구 주제 선정

    : 현상에 대한 의문 제기(성찰적 태도), 연구의 필요성 및 주제 선정

    ex. 학생 성적과 자아존중감의 관계

     

    가설 설정
    (잠정적 결론)

    ex. 성적↑ → 자아존중감

    * 가설 설정의 요건

    형식적 요건

    - 2개 이상의 변수(독립 & 종속)

    - 변수 간 명확한 관계 (+ or -) ==> ~와 관련이 있을 것이다(×)

    실질적 요건

    - 검증 가능성 ex. 착하게 살면 천국에 갈 것이다(×)

    - 검증 필요성 ex. 경제성장률이 상승하면 GDP도 높아질 것이다(×)

    cf. 문제에서 가설 설정을 생략하는 경우도 있음

    연구 설계

    개념의 조작적 정의 : 추상적 개념 구체적 개념(수량화·계량화)

    ex. 성적 중간고사, 기말고사 평균 점수

    자아존중감 외모에 대한 자신의 평가(:5/:3/:1)

    세부 실행 계획 : 기간·시기, 대상·규모, 자료 수집 방법 등 결정

    ex. 20183~4, 전국 초··고생 1000, 질문지법

    연구 윤리 확보 방안 : 사생활 침해 등 고려

    자료 수집

    : 질문지법 or 실험법 경험적 자료 수집! ex. 학생들에게 질문지 배포·수거

    자료 분석

    : 가설 검증 위해 통계 처리

    ==> 독립 변수와 종속 변수의 관계를 표 or 그래프로!

    성적
    자아존중감 4 3 5

    ex.

    가설 검증

    : 통계 처리 = 가설 수용

    통계 처리가설 기각 기각되어도 검증된 것!!

    결론 도출
    및 일반화

     

    ex. 성적 ↑ → 자아존중감 (×)

    현실에 적용 및 대안 모색

     

    728x90

    (4) 특징

    계량화·통계화·수치화 ==> 양적 접근(개념의 조작적 정의 필요!)

    공식적 자료, 수량화된 자료 중시

    cf. 비공식적 자료 : 일기, 낙서, 대화록 등

    변수와 변수 간 관계 파악 법칙 or 일반화 ==> 미래 예측, 원인 규명

    행위 그 자체 > 행위의 이면(연구 대상자의 가치·의도·동기 등)

    but, 연구 대상의 가치·의도·동기 등 주관적 측면도 객관화(수치화)할 수 있다고 봄

    연구자와 연구 대상 엄격하게 분리

    ==> 가치 개입 ×(사실과 가치 분리) ==> 객관성 확보

    (5) 장점

    객관적, 정밀한 연구 가능

    가설 검증, 법칙 발견에 유용

    (6) 단점

    인간 내부에 대한 심층적 이해 곤란

    (주관적 측면 배제 피상적 연구에 그침)

    계량화하기 어려운 분야(인간의 정신적·주관적 측면) 연구 곤란

     

    2. 질적(해석적) 연구 방법

    (1) 전제 : 방법론적 이원론 (사문 현상자연 현상)

    (2) 의미 : 사문 현상에 담긴 인간의 주관적 행위 동기·목적 등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려는 연구 방법 by 현상에 대한 기술

    (3) 절차

    문제 제기,
    연구 주제 선정

    ex. 혼인 이주 여성들 생활 연구

    연구 설계

    : 세부 실행 계획

    - 조사 시기, 기간 ex. 2017~2018

    - 대상, 규모 ex. 농촌 거주 5년 이내 외국 여성 한국 남성 10

    - 자료 수집 방법 결정 : 면접법 or 참여 관찰법

    자료 수집

    · 면접법 or 참여 관찰법 ==> 경험적 자료 수집!

    (질적 자료, 비공식 자료도 중시)

    · 직관적 통찰

    · 감정이입적 이해 : 연구대상자 입장에서 행위의 동기·의미 등 이면 이해

    ( 주관적 이해 : 연구자 입장)

    ex. 한국 온 계기, 한국과 모국 간 문화 차이, 결혼 생활 등 구체적으로 파악

    자료 해석

     

    결론 도출

     

    현실에 적용 및 대안 모색

     

     

    (4) 특징

    사문 현상 : 인간이 구성해낸 생활세계 법칙 발견, 일반화 곤란

    (인간은 자율적, 능동적, 주체적)

    질적(해석적) 접근

    - 직관적 통찰 (논리적 추론)

    - 감정이입적 이해 : 연구자의 주관 개입 × ==> 심층적 이해!

    행위 그 자체 < 행위의 이면(연구 대상자의 가치·의도·동기 등)

    연구 대상과 연구자 분리 곤란

    결론의 재생 가능성

    주관적 가치가 개입될 우려 (객관적 연구를 지향하지만)

    비공식적 자료 중시 + 공식 자료의 이면

    (5) 장점

    심층적 이해에 유리 ==> 개인의 행위 동기, 사회적 의미 파악

    계량화 어려운 정서적·주관적 측면 연구에 적합

    (6) 단점

    연구자의 주관 개입 가능성 ↑ → 연구의 객관성·정확성

    연구 결과의 일반화 곤란

     

    양적 연구 질적 연구

    경험적 관찰을 통해 자료 수집

    과학적·객관적 연구 지향

     

     

    <자료 수집 방법>

     

    1. 질문지법

    (1) 의미 : 사전에 작성한 질문지(설문지) ==> 다수에게 배포 by 인터넷, 전화, 우편, 면대면 등

                                                                     ↑

                                                    언어를 매개로!(음성·문자 등)

                                                                                                          ∴ 대량의 구조화된 자료 수집 방법

    (2) 유의점

    질문지 작성 시 유의사항

    - 명확성 : 질문은 간결·명료하고 정확하게, 가급적 쉬운 용어 사용

    - 하나의 항목으로 2가지 내용 질문 ×

    - 가치중립성 : 특정 응답 유도 ×

    - 상호배타성 : 응답 항목 간 내용 중복 ×

    - 포괄성 : 응답 항목은 가능한 모두 제시

    표본 추출의 중요성 : 표본

    대표성 ==> 일반화! (표본 크기가 중요 ×)

    - 전수 조사 : 모집단 전체 ex.인구 총조사

    - 표본 조사 : 표본 추출 ex.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시간

    (3) 특징(장점)

    시간·비용 효율성 (경제성)

    대량의 구조화된 자료 수집 방법

    분석 기준 명확 비교 용이 ==> 통계적 방법 사용에 적절

    (4) 단점

    문맹자에게 실시 곤란, 언어 제약

    회수율 , 성의 없는 응답(피상적 대답)

    심층적·세부적 의견 파악 어려움

    표본의 대표성 ↓ → 일반화 곤란

    반응형

    2. 실험법

     

    (1) 의미

    ex. 수업 수강 ==========> 성적

    독립 변수(원인) 종속 변수(결과) ==> 변화 비교!

    다른 변수 개입 통제

    인위적 조작(실험 처치)

    - 실험 집단 : 수업 ○ → 점수 ↑↑

    = 통제 집단(비교 집단) : 수업 × 점수

     

    (2) 연구 단계

    가설 설정

    ex. 수업 수강 성적

    연구 대상자 배치

    · 실험 집단 : 10+ 10

    · 통제 집단 : 10+ 10

    종속 변수
    사전 검사

    if) 실험 집단 : 80/ 통제 집단 : 50==> 잘못됨!

    두 집단의 동질성 확보하기 위해 비슷하게 조정!

    실험 집단 : 72/ 통제 집단 : 73

    두 집단의 특징이 동질적일수록 연구의 신뢰도 높아짐!

    독립 변수 조작

    실험 집단 : 수업 / 통제 집단 : 수업 ×

    종속 변수
    사후 검사

    · 실험 집단 : 92/ 통제 집단 : 76

    ==> 사전·사후 검사는 실험 집단·통제 집단 모두를 대상으로 실시!

    가설 검증

    : 점수 차이 비교 ==> 종속 변수 2회 측정하여 두 집단의 변화 비교!

     

    (3) 특징(장점)

    인과 관계 파악 법칙 발견 유리

    객관성·정확성·정밀성

    인위적 조작·통제 정도 ↑↑

     

    (4) 단점

    통제된 실험 어려움 외부 변인 개입 가능성 존재

    윤리적·법적 문제 제기 가능성 존재 실험 대상이 인간

    실험 결과 현실 적용 어려움

     

     

    3. 면접법

     

    (1) 의미 : 조사자와 응답자 간 자유로운 대화(대면)

    by 구조화 표준화 정도가 낮은 간단한 질문 내용 담은 조사표

    ==> 언어 매개(질문지법), 융통성·유연성

     

    (2) 특징(장점)

    소수 응답자에게 깊이 있는 자료(심층적) 수집

    ==> 신뢰 관계 기반으로 한 허용적 분위기(래포) 조성

    문맹자 실시 가능 (참여 관찰법)

    질문에 대한 보충 설명 가능 ==> 응답의 정확성, 응답률

     

    (3) 단점

    연구 목적에 적합한 대상자(소수의 전형적 대상자) 선정 곤란 ==> 일반화 곤란

    시간·비용==> 면접자의 면접 기술 등 전문성 요구

    연구자의 주관 개입 가능성

     

     

    SMALL

     

     

     

    4. 참여 관찰법

     

    (1) 의미 : 조사 대상자의 일상세계에 참여 장기간 심층적 이해

    ==> 조작화·통제 정도(가장 전형적으로 비표준화·비구조화)

     

    (2) 특징(장점)

    자료의 실제성(생생)

    의사소통 어려워도 연구 가능

    장기간 연구 심층적 이해 가능

     

    (3) 단점

    시간·비용↑ ← 관찰하고자 하는 현상 나타날 때까지 기다림

    예상하지 못한 변수 통제 곤란

    연구자의 주관 개입 가능성 존재

    연구 대상자에게 연구 의도 알려지면 연구 결과 왜곡될 가능성

     

     

    5. 문헌 연구법

     

    (1) 의미 : 기존 연구 결과인 문헌을 통해 자료 수집 (2차 자료)

    󰀲도서·논문·신문·그림·영상

     

    (2) 용도

    1차 자료 수집 직접 곤란할 때 ex. 역사 연구, 지리 연구

    자료 수집용 : 다른 연구 수집-재분석

    연구 주제 선정, 가설 설정의 기초 자료

    양적·질적 연구에서 모두 적용 가능

     

    (3) 특징(장점)

    시간·비용 효율성

    ·공간 제약

    기존 연구 동향 파악 (선행 연구 파악)

     

    (4) 단점

    문헌의 정확성·신뢰성 확보의 어려움

    문헌 해석 시 연구자의 주관 개입 우려

     

     

    * 자료 수집 방법 비교

    자료 수집 방법 연구 방법 조작화(통제) 정도 경제성 가치 개입 가능성 언어적 도구 필요성
    질문지법 + ++ -
    실험법 ++ -- - ×
    면접법 - - +
    참여 관찰법 -- -- ++ ×

     

    ★★ 기본 개념 및 선지 분석

     

    [1~5] 괄호 안에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구분 양적 연구 방법 질적 연구 방법
    1. 전제 방법론적 (일원론 / 이원론) 방법론적 (일원론 / 이원론)
    2. 연구 목적 사회·문화 현상의
    (법칙 발견 / 의미 이해)
    사회·문화 현상의
    (법칙 발견 / 의미 이해)
    3. 유용성 및 한계 일반화 및 법칙 발견
    (어려움 / 용이)
    일반화 및 법칙 발견
    (어려움 / 용이)
    4. 연구 대상자의 가치·동기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어려움 / 유리함)
    연구 대상자의 가치·동기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어려움 / 유리함)
    5. 연구 과정 주로 (귀납적 / 연역적) 연구 과정 주로 (귀납적 / 연역적) 연구 과정

     

    [6~10] 다음 내용을 읽고 5가지 자료 수집 방법 중 해당하는 것을 적으시오.

     

    6. 언어적 상호작용을 중시하는 자료 수집 방법 : (                ,                  )

    7. 연구자의 주관 개입 우려가 큰 자료 수집 방법 : (              ,                )

    8. 일반화(법칙 발견)를 목적으로 하는 자료 수집 방법 : (                ,                   )

    9. 심층적 자료를 통해 의미 해석을 목적으로 하는 자료 수집 방법

    : (                ,                       )

    10. 사회과학 연구의 가설 설정 단계에서 공통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자료 수집 방법

    : (                      )

     

    [11~42] × TEST

     

    11. 양적 연구 방법은 변수를 계량화하여 비교·연구하고,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

    12. 양적 연구 방법은 질적 연구 방법과 달리 경험적 자료를 중시한다. ( )

    13. 양적 연구 방법은 사실과 가치가 분리될 수 있음을 전제로 한다. ( )

    14. 질적 연구 방법은 직관적 통찰을 통해 사회·문화 현상을 이해하고자 한다. ( )

    15. 양적 연구 방법은 사회·문화 현상이 자연 현상과 본질적으로 다르다고 전제한다. ( )

    16. 양적 연구 방법은 주로 연역적, 질적 연구 방법은 주로 귀납적 과정을 통해 결론을 도출한다. ( )

    17. 양적 연구 방법은 주로 계량화가 어려운 주제의 연구에 적합하다. ( )

    18. 양적 연구 방법은 질적 연구 방법과 달리 공식적인 자료를 중시한다. ( )

    19. 양적 연구 방법은 일반화나 법칙 정립을 목적으로 한다. ( )

    20. 질적 연구 방법은 인간의 행위를 내적 동기와 분리하여 연구한다. ( )

    21. 질적 연구 방법은 양적 연구 방법에 비해 연구자와 연구 대상자 간의 정서적 교감을 중시한다. ( )

    22. 질문지법은 대규모 집단을 대상으로 계량화된 자료를 수집한다. ( )

    23. 질문지법은 표본의 대표성이 낮을수록 조사 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렵다. ( )

    24. 실험법은 통제된 상황에서 도출한 실험 결과를 실제 사회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

    25. 실험법에서 통제 집단은 원인에 해당하는 독립 변수를 처치한 집단을 의미한다. ( )

    26. 실험법은 참여 관찰법에 비해 심층적인 자료 수집이 용이하다. ( )

    27. 실험법은 면접법에 비해 자료 수집 상황에 대한 연구자의 인위적인 통제 정도가 강하다. ( )

    28. 질문지법과 실험법은 주로 양적 연구에 활용된다. ( )

    29. 질문지법과 실험법은 주로 언어적 상호작용을 중시하는 자료 수집 방법이다. ( )

    30. 면접법은 주로 면대면 대화를 통해 깊이 있는 정보를 수집한다. ( )

    31. 면접법은 응답자와 연구자 간의 정서적 교감을 중시한다. ( )

    32. 면접법은 질문지법에 비해 무성의한 응답이나 악의적인 응답 가능성이 낮다. ( )

    33. 면접법은 실험법에 비해 자료 수집 과정에서 연구자의 유연성과 융통성이 높다. ( )

    34. 면접법은 실험법과 달리 연구자와 연구 대상자 간의 대면을 통한 언어적 상호작용을 중시한다. ( )

    35. 참여 관찰법은 일상생활에서 나타나는 연구 대상의 행동을 관찰한다. ( )

    36. 참여 관찰법은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한 통제가 어렵다. ( )

    37. 참여 관찰법은 의사소통이 어려운 경우 사용이 불가능하다. ( )

    38. 참여 관찰법과 면접법 모두 질적 자료를 수집하는 데 적합하다. ( )

    39. 참여 관찰법과 면접법은 모두 자료 해석 시 연구자의 편견이 개입될 우려가 크다. ( )

    40. 문헌 연구법을 통해 수집한 자료는 주로 1차 자료에 해당한다. ( )

    41. 문헌 연구법은 면접법보다 자료 수집 과정에서 시공간적 제약이 적다. ( )

    42. 문헌 연구법은 기존 연구의 경향성 파악에 용이하다. ( )

     

     

     

    728x90
    반응형
    LIST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