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사회문화 현상의 연구 태도와 연구 윤리
    2025 수능 대비 개념 정리/사회문화 2024. 1. 30. 09:48
    728x90
    반응형
    SMALL

    사회문화 현상의 연구 태도와 연구 윤리

    <사문 현상의 연구 태도와 연구 윤리>

     

    1. 탐구 태도

     

    (1) 객관적 태도

    전제 : 특정 사회에서 태어난 연구자는

    - 그 사회의 가치·규범 습득

    - 정치적 이념, 경제적 이해관계 가짐

    연구자의 주관적 가치, 이해관계, 선입견, 감정적 요소 등 배제

    ==> 중립적 태도!(사실을 있는 그대로 수용)

    냉정한 3자적 입장에서 연구

    경험적 자료에 근거해 탐구

     

    (2) 개방적 태도

    전제 : 사문 현상은 복잡한 요인에 의해 발생

    ==> 연구 결론은 반증에 의해 진리가 아님이 밝혀질 수 있음(반증가능성, 오류가능성)

    어떤 주장이 경험적으로 실증될 때까지는 가설로 받아들이는 태도

    ==> 과학적 연구 결론이라 할지라도 잠정적 진리로 수용

    여러 가지 가능성이 공존함을 인정하는 태도

    새로운 사실과 주장을 편견 없이 받아들이는 태도

    자신의 주장·이론에 비판을 수용하는 태도

     

    (3) 상대주의적 태도

    전제 : 사문 현상의 특수성

    ==> 동일한 사문 현상도 시대·상황·사회에 따라 다른 의미 지닐 수 있음

    그 사회의 배경·맥락 등을 고려하여 이해하는 태도

     

    (4) 성찰적 태도

    전제 : 사문 현상의 복잡성

    ==> 사문 현상에 대한 연구 = 인간의 삶에 대한 연구

    사문 현상을 있는 그대로 수용 × ==> 현상의 이면을 봄(능동적·적극적 태도)

    사회과학 연구의 출발점 ==> 익숙한 사문 현상에 대해 의문을 가지는 태도

    연구 과정에 대해 제대로 탐구되고 있는지 되짚어 보는 태도(문제 인식, 주제 선정 단계)

     

    728x90

    2. 연구 윤리

     

    (1) 연구 대상과 관련된 윤리 원칙

    자발적 참여 : 연구 시작 전 연구 목적·과정 알리고 동의를 얻어야 함

    - 연구 결과의 일반화를 저해할 수도 있음

    - 목적 알리면 연구 결과에 영향 클 경우는 예외!

    but, 연구 결과 발표 전에 공표에 대한 동의 구해야 함

    연구 참여로 인한 예상되는 피해 설명

    (연구 대상자가 연구를 의식할 경우, 연구 결과 왜곡될 수 있음)

    사생활 보호 ==> 익명성 보장(연구 목적 이외의 용도로 활용 ×)

     

    (2) 연구 과정과 관련된 윤리 원칙 : 정직한 방법으로 자료 수집

    ==> 자료 조작 ×(변경·누락·추가×), 연구 출처 및 재정 지원 출처 등을 밝혀야 함

     

    (3) 연구 결과 공표와 관련된 윤리 원칙

    연구 결과 은폐·왜곡·축소·과장 ×

    연구 성과의 사회적 악용 ×

    결과 공표로 인한 인권 침해 ×

     

    ★★ 기본 개념 및 선지 분석

     

    [1~5] 다음 사회·문화 현상의 연구 과정에서 요구되는 태도를 고르시오.


    연구 단계 가치 중립 가치 개입
    1. 연구 문제 인식

    2. 연구 설계

    3. 자료 수집 및 분석

    4. 결론 도출

    5. 연구 결과의 활용

     

    [6~9] 다음 설명에 알맞은 사회·문화 현상을 탐구하는 태도를 써넣으시오.

    6. 연구자가 제3자적 입장에서 자신의 주관적 가치나 이해관계에서 벗어나 사회·문화 현상을 탐구하는 태도 (          )

    7. 사회·문화 현상의 탐구 방법이나 결과에 대해 여러 가지 가능성이 공존할 수 있음을 인정하는 태도 (               )

    8. 사회·문화 현상을 사회적 맥락 속에서 적합성을 따져 보고, 현상의 내면에 담긴 인과 관계나 의미를 능동적으로 탐구하는 태도  (               )

    9. 다양한 사회·문화 현상이 지닌 고유한 의미, 가치, 이유나 맥락 등을 그 사회의 기준에서 이해하는 태도 (               )

    반응형

    [10~25] × TEST

    10. 자료 수집 도구를 개발하는 과정은 자료 분석 단계에 해당한다. ( )

    11. 추상적인 개념을 측정 가능한 개념으로 바꿔주는 개념의 조작적 정의 과정을 거치는 것은 양적 연구 방법에 해당한다. ( )

    12.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구체적인 자료를 수집하는 것은 연역적 연구 과정에 해당한다. ( )

    13. 일반적으로 연구 주제 선정 단계에서는 연구자의 의도와 가치가 개입되는 것을 피하기 어렵다. ( )

    14. 가설의 진위 여부를 확인할 때는 연구자의 가치 개입이 필수적이다. ( )

    15. 자료 분석 단계와 가설 설정 단계는 가치 개입이 필요한 단계이다. ( )

    16. 가설 검증 및 결론 도출 단계에서 연구자의 가치가 개입되는 경우, 연구의 절차적 투명성이나 내용적 객관성이 훼손될 수 있다. ( )

    17. 사회·문화 현상을 탐구하는 관점이 다양할 수 있음을 인정하고, 자신의 주장에 대한 비판을 편견 없이 허용하는 태도는 상대주의적 태도이다. ( )

    18. 역사적 배경이나 맥락에서 사회·문화 현상을 이해하려는 태도는 상대주의적 태도이다. ( )

    19. 탐구 과정에서 연구자가 자신의 주관적 가치를 배제하고, 철저히 자료에 의해 검증될 수 있는 것만을 탐구하는 태도는 객관적 태도이다. ( )

    20. 사회·문화 현상 탐구 시 주관적 가치와 이해관계를 배제해야 한다는 태도는 객관적 태도이다. ( )

    21. 과학적인 연구 결과일지라도 반증에 의한 새로운 주장의 가능성을 인정하는 태도는 객관적 태도이다. ( )

    22. 사회·문화 현상을 표면 그대로 받아들이기보다, 이면에 담긴 인과 관계나 의미를 파악하는 태도는 객관적 태도이다. ( )

    23. 연구자가 연구 절차나 방법이 제대로 수행되었는지 살펴보는 것을 강조하는 태도는 성찰적 태도이다. ( )

    24. 사회·문화 현상 탐구 시 해당 사회의 문화적 맥락을 고려해야 한다는 태도는 성찰적 태도이다. ( )

    25. 사회·문화 현상을 보는 관점이 다양할 수 있음을 인정하는 태도는 개방적 태도이다. ( )

    SMALL

     

    728x90
    반응형
    LIST

    댓글

Designed by Tistory.